본문 바로가기

투자이야기

TQQQ 월적립 투자 2개월 차, 나의 노후 준비 여정

반응형
노후 준비, 다들 어떻게 하고 있을까?

누군가는 예·적금을 들고, 또 다른 누군가는 부동산이나 주식에 투자한다. 나는 그중에서도 TQQQ 월적립 투자를 선택했다. “무지성 적립,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지난 2개월 동안 꾸준히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처음 이 전략을 시작할 때만 해도 고민이 많았다. “레버리지 ETF를 장기 투자하는 게 과연 맞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고, 변동성이 큰 상품이라 리스크가 크다는 점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오랜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단순했다. 나스닥은 결국 우상향한다.

왜 하필 TQQQ일까?


TQQQ는 나스닥 100 지수를 3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ETF다. 쉽게 말해, 나스닥 100이 1% 오르면 TQQQ는 3% 오르고, 반대로 1% 내리면 3% 떨어지는 구조다.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서 단기 투자자들에게는 위험할 수 있지만, 나는 장기 투자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나스닥은 수많은 위기를 겪었음에도 결국 상승했다.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폭락장, 그리고 2022년 긴축 쇼크까지. 시장이 무너질 것처럼 보였던 순간에도 결국 회복했고, 그 과정에서 지수는 더욱 성장했다. 그렇다면 10년 후에도 같은 흐름이 반복되지 않을까?

무지성 월적립, 10년 후에는?


내 전략은 단순하다. 매달 같은 금액을 TQQQ에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 그러면 시장이 오를 때는 수익이 커지고, 시장이 내릴 때는 더 저렴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렇다면 10년 후, 예상 수익은 어떨까?

과거 TQQQ의 연평균 수익률(2023년 기준)은 약 45~50%였지만, 변동성을 고려해 연평균 30% 수익률로 보수적으로 계산해봤다.

• 매월 100만 원 투자
• 연평균 수익률 30% 가정
• 10년 후 예상 금액: 약 7억 5천만 원

이 금액이면 노후 자금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중요한 건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다.

TQQQ 투자의 리스크와 나의 대응법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른다. 특히 TQQQ는 변동성이 극심한 상품이라 하락장이 길어지면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다.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세웠다.

1. 정해진 금액만 투자 –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만 투자해, 시장 변동에 흔들리지 않는다.

2. 10년간 인출 금지 – 중간에 손실이 나도 당황하지 않고 묵묵히 적립한다.

3. 나스닥의 기초체력 믿기 – 개별 종목이 아닌 지수 투자이므로, 장기적으로 회복할 가능성이 크다.

2개월 차,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


아직 2개월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작은 변화를 느낀다. 예전에는 주가가 조금만 출렁여도 불안했는데, 이제는 “싸게 살 기회가 왔다”라고 생각하게 됐다. 투자란 결국 심리 싸움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묵묵히 적립해 나가다 보면, 어느 순간 복리의 마법이 빛을 발할 것이다.

10년 후, 나는 어떻게 변해 있을까? 지금의 선택이 미래의 나에게 든든한 노후 자산이 되어주길 바라며, 다음 달에도 변함없이 투자금을 넣을 생각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