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투자하신 분들, 올해도 5월 양도세 신고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저도 올해 처음으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신고·납부했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저도 양도세만 내면 끝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걸?
해외주식 세금은 국세(양도세)와 지방세가 따로 있는 구조였습니다.
홈택스에서 양도세 신고·납부를 하고 나면,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따로 또 납부해야 한다는 거, 처음 경험하니 헷갈릴 수밖에 없었죠.
✔ 실제 납부한 금액
• 양도소득세: 4,884,303원
• 지방소득세: 488,430원
• 총 납부: 5,372,733원
저처럼 카드로 할부하려고 했다면 주의하세요.
홈택스 카드 납부에는 8% 가산세가 붙습니다. 결국 전 전액 현금 납부했죠. 카드 할부하려다 가산세 붙는 거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 절세 꿀팁: 내년엔 이렇게 준비하세요
1. 손익통산 활용
• 같은 해 해외주식 손익을 합산 가능.
• 수익이 발생했으면, 손실 종목 정리해서
세금 줄이기.
2. 연말 손절 활용
• 세금 기준일은 1월~12월.
• 연말 전에 손실 종목 매도해 손익통산
효과 극대화.
3. 양도세 분납 활용
• 납부세액이 1,000만 원 초과 시 50%씩
나눠서 납부 가능.
• 5월 31일 1차, 7월 31일 2차 납부.
4. 홈택스/위택스 따로 기억하기
• 홈택스: 양도소득세 신고 및 납부.
• 위택스: 지방소득세 신고 및 납부.
• 자동 연동 안 됨. 꼭 별도로 납부해야 함.
✔ 결론
해외주식 투자하면서 수익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금 관리야말로 확정비용을 줄이는 투자자의 마지막 실력입니다.
저처럼 당황하지 말고, 손익통산, 분납, 현금 납부 꼼꼼히 챙기세요.
내년엔 세금 앞에서 당황하지 않는 스마트 투자자 되시길 바랍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RP투자, 환테크, 비트스플릿까지 나만의 분산 재테크 루틴! (10) | 2025.05.16 |
---|---|
[키움 문자 받고 헷갈림] 해외주식 양도세 vs 금융소득 종합과세 홈택스에서 헷갈림 없이 구분하는 법 (내 경험 공유) (2) | 2025.05.12 |
2025년 04월 미국주식 손익결과 (1) | 2025.05.01 |
[실사용 후기] 코인 자동매매 ‘비트스플릿’, 한 달도 안 돼 수익 100만 원 넘었습니다 (1) | 2025.05.01 |
2025 03월 미국주식 손익결과 (0) | 2025.04.02 |